벌은 꽃에서 꿀을 따지만
꽃에게 상처를 남기지 않습니다.
오히려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꽃을 도와 줍니다.
사람들도 남으로부터
자기가 필요한 것을 취하면서
상처를 남기지 않으면 얼마나 좋을까요.
내것만 취하기 급급하여 남에게 상처를 내면
그 상처가 썩어 결국 내가 취할 근원 조차 잃어버리고 맙니다.
사람과 사람사이에도 꽃과 벌 같은 관계가 이루어진다면
이 세상엔 삶의 향기가 가득하지 않을까요?
세상에선 돌아오지 않은게 있습니다.
우리는 일상적으로 쓰는 말이
한번 내 뱉으면 다시는 돌아 오지 않는다고 합니다.
그러니 매사에 타인과 대화를 나눌 때
상처를 주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.
그리고 화살이 날아가면 다시 돌아 오지 않습니다.
사람은 언제나 매사를 신중 함으로써
이미떠난 화살을 되돌릴 수 없듯이..
우리에 행동에도 후회를 가지는 일이 없었으면 합니다.
또 한가지는 흐르는 물 입니다.
냇물이 흐르다가 한곳에 오래 모여 있으면
그 기능은 점차적으로 약화되어 기능을 잃어 버립니다.
흐르는 물이 흐르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?
썩어 버리는 것처럼..
우리도 한곳에 오랜 세월을 정체 한다면
마치 이 물처럼 신선함을 잃어 버리진 않을까요?
때문에 언제나 자기를 변화 시키고
더 발전시킬 수 있는 비젼의 장으로 나가야 할것입니다
창골산
[출처: 뿌리소리]
꽃에게 상처를 남기지 않습니다.
오히려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꽃을 도와 줍니다.
사람들도 남으로부터
자기가 필요한 것을 취하면서
상처를 남기지 않으면 얼마나 좋을까요.
내것만 취하기 급급하여 남에게 상처를 내면
그 상처가 썩어 결국 내가 취할 근원 조차 잃어버리고 맙니다.
사람과 사람사이에도 꽃과 벌 같은 관계가 이루어진다면
이 세상엔 삶의 향기가 가득하지 않을까요?
세상에선 돌아오지 않은게 있습니다.
우리는 일상적으로 쓰는 말이
한번 내 뱉으면 다시는 돌아 오지 않는다고 합니다.
그러니 매사에 타인과 대화를 나눌 때
상처를 주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.
그리고 화살이 날아가면 다시 돌아 오지 않습니다.
사람은 언제나 매사를 신중 함으로써
이미떠난 화살을 되돌릴 수 없듯이..
우리에 행동에도 후회를 가지는 일이 없었으면 합니다.
또 한가지는 흐르는 물 입니다.
냇물이 흐르다가 한곳에 오래 모여 있으면
그 기능은 점차적으로 약화되어 기능을 잃어 버립니다.
흐르는 물이 흐르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?
썩어 버리는 것처럼..
우리도 한곳에 오랜 세월을 정체 한다면
마치 이 물처럼 신선함을 잃어 버리진 않을까요?
때문에 언제나 자기를 변화 시키고
더 발전시킬 수 있는 비젼의 장으로 나가야 할것입니다
창골산
[출처: 뿌리소리]
'■ General 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0%를 살기 위해선 (0) | 2004.12.21 |
---|---|
끈기 (0) | 2004.12.21 |
유혹(誘惑)에 대해 (0) | 2004.12.21 |
비판에 대처하는 열 가지 마음 (0) | 2004.12.21 |
비누같은 마음으로 (0) | 2004.12.21 |